계측 시작 기준 |
투구 간 |
투수가 공을 소유하고 포수와 타자가 더트써클 내에 위치하고 있을 때 |
타석 간 |
이전 플레이의 결과가 선언되었을 때
- 볼넷의 경우, 타자가 1루주자로서 준비를 마쳤을 때
- 외야에서 잡힌 타구는 공이 내야로 돌아왔을 때
- 타자 주자가 2루에서 타석을 마친 경우, 보호장비를 벗어 주루 코치나 배트 보이/걸에게 전달했을 때
- 투수가 수비로 인해 마운드를 떠났던 경우, 마운드로 돌아왔을 때
|
이닝 교대 |
이전 이닝의 마지막 아웃이 선언되었을 때 |
투수교체 |
구원 투수가 워닝 트랙을 넘어설 때 *단, 구장별 차이 有 |
마운드 방문 |
감독 또는 코치가 덕아웃을 떠나거나 포수가 더트써클을 벗어나고, 심판이 마운드 방문 요청을 받아들였을 때 (1, 3루 파울라인을 넘어설 때)
|
볼 데드 상황 이후 |
①투수가 공을 소유하고, ②포수와 타자가 더트써클에 위치하며,
③야수가 제자리에 위치하고, ④주자가 베이스로 복귀하고,
⑤경기가 재개될 준비가 되었을 때
|
연습투구 |
· 이닝 교대 또는 투수교체 시간이 최소 33초가 남아있을 때 마지막 연습투구 동작에 들어가야 함
- 33초 미만인 상태에서 추가 연습투구를 시도하면 볼 선언
· 이닝 교대 및 투수교체 후 첫 투구는 광고 송출 보장을 위해, 20초가 남아있을 때까지 투구를 시작해서는 안됨
|
심판의 권한 |
· 심판은 피치클락의 계측 시작, 종료 또는 재설정에 대한 최종 권한을 갖고 있음
· 심판은 재량에 따라 특수 상황에 따른 조정을 결정할 수 있음
- 이닝의 첫 타자가 외야수 또는 포수인 경우, 루상에서 이닝을 마친 포수가 장비 착용 시간이 충분하지 않거나, 부상 또는 의학적 문제로 선수에게 추가적인 시간이 필요한 경우, 피치컴 장비 고장과 같이 불가피한 상황 등
|
피치클락 규정 회피 시도 |
선수나 감독·코치가 고의로 피치클락 규정의 적용을 모면하거나 회피하려고 했다고 심판이 판단한 경우 볼/스트라이크가 부과됨
|
피치클락 장비 고장 시 |
· 외야 피치클락 또는 2개의 내야 피치클락이 모두 고장으로 활용 불가시에는 피치클락 규정을 적용하지 않음
- 내야 피치클락 1개만 고장이고 나머지는 정상작동인 경우 진행 유지
· 경기중 수리가 완료되면 다음 회 초가 시작될 때 피치클락의 사용과 규정 적용 재개
|
투수판 이탈 제한 (퓨처스) |
· 견제, 견제구 던지는 시늉, 주자 있을 때 투수판에서 발 빼는
경우
· 투수판 이탈 허용 횟수: 3차례까지 제약 없이 가능
· 어떠한 이유로든 주자가 다른 베이스로 진루 시 이탈 횟수 초기화
· 이 외 투수판 이탈 부과 상황
- 수비팀 타임 요청 시, 9초 미만 남았을 때 포수의 포수석 이탈 시, 9초 미만 남았을 때 투수의 새 공 요청 시
|
위반 시 보크
단, 네번째(혹은 그 이상) 이탈의 결과로 아웃을 기록하거나 주자가 진루할 경우 보크 부과되지 않음
|